bootcamp/리눅스 (3) 썸네일형 리스트형 1031 2일차 2) 리눅스 리눅스 IP설정 vi 편집기를 열어 스크립트 파일 실행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160 BOOTPROTO=dhcp 를 BOOTPROTO=static 으로 변경 (dhcp는 자동, static 수동 설정) ONBOOT=no 를 ONBOOT=yes 로 변경 (no는 설정파일 무시, yes는 설정파일 적용) 다음 내용들을 마지막 줄에 추가 (=뒤에 오는 것은 용어 설명이 아님. 입력해야할 내용들) IPADDR=리눅스 컴퓨터가 사용할 IP 주소 NETMASK=공유기에 설정된 것과 같은 서브넷 마스크 GATEWAY=공유기의 사설 IP 주소 DNS1=8.8.8.8 (8.8.8.8은 구글의 DNS 서버 주소) >dns '1' 은 뭐지?? dns는 하나만 있는것이 아.. 1031 2일차 1) 네트워크 랜 하나의 네트워크 가까운 곳애 있는 컴퓨터들끼리 연결한 것 인터넷 랜+랜+...+랜, 전세계의 랜들을 연결한 큰 네트워크 ip 주소 컴퓨터가 사용하는 주소 다른 컴퓨터를 찾아가는 주소 공유기에 네트워크 대역을 설정(네트워크 대역을 사용하는 주소가 아님 컴퓨터를 설정할 때는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dns서버 주소, 게이트 웨이 주소를 작성함 IP주소는 같을 수 없다 서브넷 마스크 IP주소에서 앞부분:네크워크를 의미, 같은 아파트 같은 같은 동을 의미) 뒷부분: 특정 컴퓨터(호스트)를 의미, 해당 동의 호 수 게이트웨이 인터넷으로 가는 주소 공유기 IP주소 하나를 공유, 내 네트워크랑 인터넷을 연결 내 네크워크에서 쓰는 IP 주소 하나와 인터넷에서 쓰는 IP 주소 하나, 총 2개를 갖고 있다. 공인 I.. 1030 리눅스 명령어/권한/vi편집기 경로란??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위치와 이름을 적는 것 경로를 입력하는 방식은 2가지 1.절대경로 -주소를 일일히 모두 기술하여 한번에 바로 이동이 가능하다 2.상대경로 -현재를 기준으로 차근차근 접근해가는 것 -------->계층구조로 이해하면 쉬움 ---------내가 명령어를 어디서 실행하는지 확실히 확인하고 실행할 것 윈도우는 최상위에 root가 없지만 리눅스는 root부터 시작함 디렉토리 작업 명령어 현재 작업 디렉토리 확인 (현재 위치가 표시되는 기능) pwd 디렉토리 내용확인 (해당폴더로 이동) cd 디렉토리 내용확인 (파일의 목록이 표시되는 기능) ls 폴더 복사 cp 폴더 이동 mv 폴더 이름 변경 mv 새 폴더 생성 mkdir 폴더 삭제 rm 디렉토리 안에 있는 파일 목록 보기 ls -a..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