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밸런서는 내가 설정한 포트로 서비스가 가능하다
https://mlops-for-all.github.io/docs/appendix/metallb
위 주소에서 나오는 명령어를 잘 보고 마스터에 넣으면 됨
2. Bare Metal 클러스터용 load balancer metallb 설치 | MLOps for ALL
MetalLB란?
mlops-for-all.github.io
위 공인 아이피 바꾸기 전
아래 공인 아이피 바꾼 후
러닝이 뜨지 않던게 모두 러닝으로 바뀜
apiVersion: v1
kind: ConfigMap
metadata:
namespace: metallb-system
name: config
data:
config: |
address-pools:
- name: default
protocol: layer2
addresses:
- 사용중이지 않은 아이피 대역폭
가상 머신 아이피 10.10.10.50-10.10.10.90 으로 지정해줬었음
kubectl apply -f metallb_config.yaml
위 내용을 입력하면
configmap/config created << 이렇게 출력이 된다
쿠버네티스 가서 확인해보면 엔진엑스의 타입이 로드밸런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쿠버네티스를 설정할 때 무조건 컨트롤러로 파드를 생성한다
그냥 만들지는 않음
오토스케일 - 알아서 파드가 생성 되어서 부하분산에 용이한 기능
deployment - 가장 기본적임
[1] Recreate 방식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deployment-1
spec:
replicas: 2
strategy:
type: Recreate
revisionHistoryLimit: 1
selector:
matchLabels:
type: app
template:
metadata:
labels:
type: app
spec:
containers:
- name: container
image: ddarahakit2023/hello:8000
ports:
- containerPort: 8000
terminationGracePeriodSeconds: 5
파드를 생성할 때 방식이 여러가지인데 기본적인 방식 recreat3e
템플릿 - 파드를 만들 때 사용한 문버ㅕㅂ을 그대로 사용하면 됨, 볼륨이나 컨피그를 썼다면 그대로 입력
서비스에 입력해줬던 것 처럼 셀렉터랑 레벨을 맞춰줘야 함
부하분산을 해줘야 된다면 리소스 스케일링에서 파드를 늘려주면 정상적으로 부하분산이 된다